프로그래밍의 변수(variable)란?
프로그래밍에서의 변수란 단 하나의 값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고이다.
이 변수는 언제든지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있기에 변수란 이름을 사용한다.
또, 이 변수에 저장할 수 있는 값은 여러가지 형태가 있다.
이 변수는 저장되는 값의 형태에 따라 모습이 달라진다.
변수 선언하기
위의 설명대로 저장되는 값에 따라 형태가 바뀌는데 이를 변수의 자료형이라 한다.
이 변수의 자료형을 선택하고 이름을 정하는 것을 '변수를 선언한다'라고 한다.
age를 변수로 선언하고 본인의 나이를 값으로 넣는다면 나이는 정수이므로
밑과 같은 형식으로 변수를 선언하고 그에 맞는 값을 대입한다.

int는 정수를 나타내는 자료형이고 age는 나이를 의미하는 변수 이름이 된다. = 는 수학에서는
좌우가 같다는 의미를 갖지만 프로그램에서는 '우측 값을 좌측에 대입한다'는 의미로 쓴다.
사진의 문장을 해석하면 'age라는 이름의 변수를 정수 자료형으로 선언한다. 선언한 age 변수에
값 19를 대입한다'이다.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에 값을 넣거나, 변수에 들어 있는 값을 가져올 수도 있다.
변수 초기화하기
위에서는 age 변수를 먼저 선언하고 후에 값 19를 대입했다.
이번에는 age 변수 선언과 값 19 대입을 동시에 할 것이다.

이처럼 변수를 선언하면서 값을 바로 대입할 수도 있다. 변수에 처음 값을 대입하는 것을
'초기화'라고 한다. 변수의 초기화는 변수를 먼저 선언하고 대입할 값이 정해졌을때 해도 되고,
변수를 선언함과 동시에 값을 대입해도 된다.
변수 이름 정하기
JAVA에서 변수의 이름을 정할 때는 제약이 있다.

변수의 이름에는 길이 제한이 없으므로 의미를 풀어서 사용하는 것이 프로그램을 작성하고 이해하는데 편하다.
또 변수 이름은 대부분 소문자로 시작하여 여러 단어로 이름을 만들 경우 중간의 다른 뜻의 단어가 등장할 때 첫 글자를
대문자로 사용하는 것도 카멜 표기법(camel notation)이라 하여 요령이다.
참고 서적: 자바 프로그래밍 입문 - 박은종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입문 - 비트 연산자 (4) | 2022.05.02 |
---|---|
JAVA 입문 - 항과 연산자 (8) | 2022.05.02 |
JAVA 입문 - 형 변환 (0) | 2022.05.01 |
JAVA 입문 - 상수와 리터럴 (0) | 2022.05.01 |
JAVA 입문 - 변수의 자료형 (0) | 2022.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