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217)
REST API 이 글은 REST API에 대해 가볍게 서술한다. REST API에서 REST는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아키텍쳐(네트워크에서 통신을 구성할 때 설계 구조를 제시하는 지침)이다. REST API에서 API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로, 다른 소프트웨어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따라야 하는 규칙을 정의한다. REST API 장점 첫 째, 확장성 REST API를 구현하는 시스템은 REST가 클라이언트 - 서버 상호 작용을 최적화하기에 효율적으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둘 째, 유연성 REST 웹 서비스는 완전한 클라이언트 - 서버 분리를 지원한다. 각 부분이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서버 구성 요소를 단순화하고 분리한다. 이때,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플랫폼 또는 기술 변경은 클라이언트 애플리케..
vue.js 이 글은 vue.js에 대해 가볍게 서술한다. vue.js는 JavaScript로 개발된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로, 보통 뷰(view)라고 부른다 한다. 오늘 가볍게 열어본 vue.js는 파일 경로를 설정하여 cmd에서도 명령어 "code ."로 실행할 수 있으며, 경로 설정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npm -v"를 입력해보는 방법이 있다. vue.js를 사용하려면 "npm run serve"를 입력해야 한다. 또, 파일을 만들 때는 "cd (프로젝트 이름)"으로 작성하고, 파일을 잘 못 들어와 나가려 한다면, "cd .."을 입력하면 된다. 아직 완성되진 않았지만 vue.js를 통해 게시판의 구조를 얼핏 잡아봤는데 작업이 재미있었다. 컴퓨터를 이용한 개발이 어려울까봐 접하지 못 하셨던 분들도 vue..
npm 이전에 Node.js를 배우다 npm에 대해서도 조금 알아봤다. 이 글 또한 심도 깊은 이해보다는 개발 공부를 하는 학생의 입장에서 처음 만난 npm에 대해 서술한다. npm이란 Node.js의 패키지를 관리할 수 있는 도구다. 여기서, 인터넷을 통해 알아본 npm이 'Node Package Manager'의 약자라 쓰여있었는데, 이는 npm 깃허브에 따르면 사실이 아니라고 한다. 위 같은 오해가 생길만도 한 것이, 패키지를 저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npm은 JavaScript와 Node.js의 인기상승에 힘입어 세계 최대의 패키지 저장소가 되었다.
Node.js 오늘 알아본 것은 JavaScript로 코드를 실행할 수 있게 해주는 런타임( 컴퓨터 프로그램이 실행되고 있는 동안의 동작 ) 환경 Node.js다. 아직 실습도 해보지 않아 지금 작성하는 글은 Node.js를 더 깊이 이해하기 전, 첫인상을 서술한다 보면 된다. 이는 홈페이지에서 스스로를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게 설계되었다고 한다. Node.js 스스로 서술하는 장점으로 "실행할 작업이 없다면 대기한다" 라는 것이 있다. 이는 현대 OS 스레드( 동일한 프로세스 내의 공유 메모리 공간에서 실행되는 흐름의 단위 )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동시성 모델과는 대조적이다. 또, 스레드 기반의 네트워크는 비교적 비효율적이고 사용이 매우 어렵다고 한다. 또 다른 장점은 "잠금"이 없으므로 N..
[MySQL] TABLE 구조 잡기 CREATE TABLE ush_user ( user_seq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 user_name varchar (32) , user_id varchar (32) , user_pwd varchar (50) , user_call_num int , user_email varchar (50) , user_hobby int , user_sex int , user_blog_name varchar (50) ); CREATE TABLE ush_hobby ( hobby_seq int auto_increment PRIMARY KEY , hobby_title int , hobby_major int ); CREATE TABLE ush_blog_writing ( blog_seq int a..
FOREIGN KEY 맛보기 이전 글에서 다른 테이블의 필드를 참조할 때 join 예약어를 사용했었다. 이번에는 필드 자체가 다른 테이블의 필드를 참조하는 예약어 FOREIGN KEY를 사용해 볼 것이다. 우선, employee 테이블을 생성했다. 그리고 part 테이블을 생성했는데, part 테이블에 처음 보는 예약어가 있다. 이것이 바로 다른 테이블의 필드를 참조하는 FOREIGN KEY다. 위 내용은 part 테이블의 employee_id 필드는 employee 테이블의 id 필드를 참조한다는 뜻이다. 사용 방법은 아래와 같다. FOREIGN KEY (필드명) REFERENCES 참조테이블명 (참조필드명) 이 외에도 제약조건이라는 것이 있던데, 잘못된 지식을 쌓는 것 보다 올바른 방향을 추구하기 위해 조력자를 만나 직접 배울 ..
TABLE JOIN 오늘은 지난 시간에 배운 CRATE TABLE을 이용해 TABLE을 생성하고, 컬럼을 삽입했다. PLAYER_INFO PLAYER_INFO_MAJOR PLAYER_INFO 테이블은 선수들의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테이블로, 선수 이름, 나이, 번호, 전공 컬럼이 있다. PALYER_INFO의 PLAYER_MAJOR를 varchar가 아닌 int형으로 받은 이유는, PLAYER_INFO_MAJOR 테이블에서 더 세분화 하기 위해서다. PLAYER_INFO_MAJOR 테이블에는 PIM_SEQ와 PIM_MAJOR 컬럼이 있다. PIM_SEQ는 PLAYER_INFO의 PLAYER_MAJOR와 대칭되는 컬럼이며, PIM_MAJOR에는 전공명이 써져 있다. ※ 테이블을 다 만들고 누나한테 들은 바로는, primary..
CREATE TABLE - 테이블 생성하기 MySQL은 자바와는 조금 다르게, 테이블을 생성하고 그 테이블 안에 컬럼을 넣는다. 아래는 필자가 만약 인터넷 사이트를 운영한다면 사용자들에게 입력 받을 정보이다. USER_INFO라는 테이블을 생성했다. 테이블 안에는 UI_SEQ, UI_NAME, UI_HOBBY, UI_ID, UI_PWD 컬럼이 있다. int는 java의 int와 같은 정수를 뜻하고, VARCHAR은 java의 String과 같은 문자열이다. VARCHAR 뒤 괄호 안의 숫자는 해당 컬럼이 받을 문자열의 길이를 뜻한다. 또, UI_SEQ 뒤에 붙은 auto_increment는 자동으로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primary KEY는 "중복될 수 없는"을 뜻한다. 네트워크 관리사 공부하다가 MySQL하니 재미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