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217)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 입문 -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클래스 지난 글: [프로그래밍 언어/JAVA] - JAVA 입문 - 반복문 객체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사전에서 객체는 '의사나 행위가 미치는 대상'이라고 한다. 우리 눈에 보이는 사물들이 모두 객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눈에 보이지 않는 어떤 행동을 나타내는 단어도 객체가 될 수 있다. 오늘부터 배울 JAVA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은 객체를 기반으로 하는 프로그램이다. 클래스 더보기 객체 지향 프로그램은 클래스를 기반으로 프로그래밍한다. 클래스는 객체의 속성과 기능을 코드로 구현한 것이다. 객체를 클래스로 구현하는 것을 '클래스를 정의한다'라고 한다. 클래스를 정의하려면 우선 클래스 이름과 클래스가 가지는 속성 또는 특성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 JAVA 입문 - 반복문 지난 글: [프로그래밍 언어/JAVA] - JAVA 입문 - 조건문 반복문이란? 프로그램에서 반복되는 일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이다. JAVA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반복문의 종류에는 while문, do-while문, for문 이렇게 세 가지이다. 모두 동일하게 반복 수행을 하지만, 사용 방법에 차이가 있다. while문 더보기 while문은 조건식이 참인 동안 수행문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어떤 조건식을 만족하는 동안 중괄호 { } 안의 수행문을 반복해서 처리한다. 조건문과 마찬가지로 수행문이 하나인 경우에는 { }를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다. 예시) while문을 사용한 1부터 10까지 차례대로 더하는 프로그램 while문이 무한히 반복되는 경우 while문은 특정 조건을 만족하는 동안 .. JAVA 입문 - 조건문 지난 글: [프로그래밍 언어/JAVA] - JAVA 입문 - 비트 연산자 조건문이란? 조건문이란 주어진 조건에 따라 다른 문장을 선택할 수 있도록 프로그래밍하는 것을 만한다. if문과 if-else문 더보기 조건문의 가장 단순한 형식은 if문이다. if문은 '만약 ~이라면'으로 해석할 수 있다. if문을 사용하는 형태를 간단히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if(조건식) { 수행문;//조건식이 참일 경우에 이 문장을 수행 } 더보기 주어진 조건식이 참일 경우에 중괄호 안에 있는 문장을 수행한다. 조건식에는 결과가 참, 거짓으로 판별되는 식이나 참, 거짓의 값을 가진 변수, 상수를 사용할 수 있다. 연산의 결과가 참, 거짓이 되는 관계 연산자를 자주 사용한다. 조건식을 만족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는 경우를 모두 나.. JAVA 입문 - 비트 연산자 지난 글: [프로그래밍 언어/JAVA] - JAVA 입문 - 항과 연산자 비트 연산자 지난 글까지 배운 연산이 변수나 상수에 대한 연산이라면 이번에는 비트 값을 기반으로 하는 연산자를 배울 것이다. 비트 연산자는 말 그대로 비트 단위로 연산이 이루어지는 연산자이다. 비트 논리 연산자 더보기 비트 단위로 &, |, ^, ~ 연산이 이루어 진다. ㄱ) & 연산자 &(AND) 연산자는 두개의 비트 값이 모두 1인 경우에만 연산의 결과 값이 1이 된다. ㄴ) | 연산자 |(OR) 연산자는 비트 값이 하나라도 1이면 연산 결과 값이 1이 된다. ㄷ) ^ 연산자 ^(XOR) 연산자는 두 개의 비트 값이 같으면 0, 다르면 1의 결과 값을 갖는다. ㄹ) ~ 연산자 ~(반전) 연산자는 비트값을 0은 1로, 1은 0으로.. JAVA 입문 - 항과 연산자 지난 글: [프로그래밍 언어/JAVA] - JAVA 입문 - 형 변환 항과 연산자란? 연산에 사용하는 기호를 연산자(operator)라고 한다. 그리고 연산에 사용하는 값을 항(operand)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6+21에서 6과 21은 항이고 +는 연산자이다. 연산자는 항의 개수에 따라 단항 연산자, 이항 연산자, 삼항 연산자로 나뉜다. 단항 연산자는 항이 한 개, 이항 연산자는 항이 두 개이다. 사칙연산이 대표적인 예다. 그리고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조건 연산자가 있는데, 바로 항이 세 개가 필요한 삼항 연산자이다. 사칙연산에서 곱셈과 나눗셈을 덧셈, 뺄셈보다 먼저 계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연산 순서를 '연산자 우선순위'라고 한다. 프로그램에서 사용하는 연산자도 우선순위가 있다. 단항 .. JAVA 입문 - 형 변환 지난 글: [프로그래밍 언어/JAVA] - JAVA 입문 - 상수와 리터럴 형 병환이란? 컴퓨터 내부에서 정수와 실수가 표현되는 방식은 전혀 다르다. 하여 정수와 실수를 더한다고 할 때 그대로 연산을 수행할 수 없고 하나의 자료형으로 통일한 후 연산을 해야한다. 이때 이루어지는 것이 형 변환(type conversion)이다. 위 문장에서 변수 num은 int형이고 변수 dnum은 double형이다. 형 변환이란 이렇게 각 변수의 자료형이 다를 때 자료형을 같도록 바꾸는 것을 말한다. 형 변환은 크게 묵시적 형 변환(자동 형 변환)과 명시적 형 변환(강제 형 변환) 두 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 묵시적 형 변환 더보기 형 변환의 기본 원칙은 밑과 같다. 위 두 가지 원칙에 기반해 묵시적 형 변환이 이루어지.. JAVA 입문 - 상수와 리터럴 지난 글: [프로그래밍 언어/JAVA] - JAVA 입문 - 변수의 자료형 상수란? 지난 글에서는 변수와 그 자료형을 공부했다. 변수는 단 하나의 값을 담을 수 있는 저장고라 했다. 또, 언제든지 저장된 값을 바꿀 수 있다고 했다. 이번 글은 항상 변하지 않는 값인 '상수'에 대해 공부한다. 상수(constant)는 1년은 365일, 하루는 24시간 등의 변치 않는 값을 저장한다. JAVA에서는 final을 상수의 예약어로 사용해 선언한다. 상수 이름은 대문자를 주로 사용하고, 여러 단어를 연결하는 경우에 _ 기호를 사용한다. 한 번 선언한 상수는 변하지 않기에 선언과 동시에 값을 지정하는 것이 좋지만 가끔 선언만 하고 사용하기 전에 값을 지정하기도 한다. 상수의 편리함 더보기 프로그램 내부에서 반복적으.. JAVA 입문 - 변수의 자료형 지난 글: [프로그래밍 언어/JAVA] - JAVA 입문 - 변수 자료형과 그 종류 지난 글에서 말했듯 변수는 저장되는 값의 형태에 따라 모습이 달라진다. 이렇게 변한 형태를 변수의 '자료형'이라고 한다. 이 자료형에는 기본 자료형과 참조 자료형으로 나뉘는데, 참조 자료형은 심화과정이므로 이번 글에서는 기본 자료형만을 다룰것이다. 기본 자료형의 종류 1.정수 자료형 정수 자료형은 양수, 음수, 0을 나타낼 때 사용하는 자료형이다. 표에서 볼 수 있듯 4가지로 자료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각 자료형은 메모리에서 사용하는 바이트 수와 용도가 다르다. 더보기 ㄱ)byte형 1바이트로 정수를 표현하는 자료형이다. 1바이트는 8비트이다. byte형으로 표현할 수 있는 범위는 (-128~127)이다. 이 범위를 초.. 이전 1 ··· 24 25 26 27 28 다음